유성구 문화재3

유성구 문화재3 소개

안녕하세요.
유성호빠입니다.

오늘 유성호빠와 함께 유성구 문화재중 김반, 김익겸의 묘 및 비, 불상조각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성구 문화재3

김반, 김익겸의 묘 및 비

  • 지정번호 :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 소재지 : 대전 유성구 전민동 산 18-17
  • 지정일 : 1989-03-18

상세소개

전민동 엑스포사거리에서 삼성푸른아파트를 지나면 오른쪽으로 통나무집이 나오고 그 위쪽의 산에는 수십기의 분묘가
있는데 광산 김씨 일가의 선산으로 나라에서 사패지로 하사받은 땅이다.

조선시대에는 이 인근에 전민역이 설치되어 있었다.

광산 김씨 문중의 묘 중 대전시 문화재 자료로 지정된 것이 김반의 묘와 신도비이다. 김반의 묘 주위에는 상석, 문인석,
묘비, 신도비 등이 있다. 봉분의 직경은 8m, 높이는 2.2m 이고 앞에는 12m의 장대석을 놓고 묘역을 조성해 놓았다.
묘의 왼쪽 앞에 있는 신도비의 글은 청음 김상헌 선생이 짓고, 글씨는 동춘 송준길 선생이 쓴 것으로 현종 2년(1661)에
세워진 것이다.
또 중앙에는 상석을 놓았고 좌우에는 문인석을 배치, 장중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묘의 바로 아래쪽에는 광산 김씨 문중의 제실이 있어 1년에 한번씩 후손들이 모여 그를 추모하는 제를 지낸다.
김반(1580-1640)은 인조(1623-1649)때의 충신이며 대학자이다.

그는 유명한 유학자인 사계 김장생의 아들로 자는 사일이고 호는 허주이다. 그는 문과 급제후 여러 관직을 거쳐
대사간이 되었고 병자호란 때는 남한산성에 모셨고 둘째아들 김익희와 함께 독적어사로 전투에 나가 병사들을 감독하고
격려하기도 하였다.
그때 부인 서씨와 셋째아들 김익겸도 강화도에서 순절하여 정려문을 세웠는데 이 정령문은 묘 아래쪽 동네입구에서
잘 보이는 곳에 있다.
그때의 공으로 김반은 다시 대사간이 되었다가 대사헌을 거쳐 이조참판에 이르렀다.

유성구 문화재3 불상조각장

  • 지정번호 :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 소재지 : 대전 유성구 엑스포로 624
  • 지정일 : 1999-05-26

상세소개

불상조각장은 불상을 조각하는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기능보유자 이진형은 목아 박찬수 선생(중요무형문화재 제108호 목조각장)으로부터 목조각과 불교조각기술을
전수받아 전국 대·소사찰의 불상조각에 참여하였다.
또한 임석정 스님(중요무형문화재 제48호 단청장)으로부터는 불교조각의 형태·비례·색채 등 전반에 걸친 전통
불교조각 기능을 전수받아 연마함으로서 전문 불교조각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진형은 각 시대별 불상의 양식과 조각기법 등을 두루 섭렵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경지를 이루었고, 활발한 창작
활동과 더불어 기능 전수를 목적으로 불교조각원을 운영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현재 부처의 생애를 내용으로 하는 여진불교미술관을 개관, 운영하고 있다.

대전에서는 재래의 기술로 전통양식의 불상을 조각하는 불상조각장을 전통 공예 기술 분야로 인정하여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약력
  • 1999. 05. 26 대전무형문화재 제6호 불상조각장(佛像彫刻匠) 보유자인정
  • 1981 불교조각원 개원 / 대한민국 불교미술대전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상 수상
  • 1982 문화재 수리 기능자(조각공) 제680호
  • 1988 제12회 대한민국 불교미술대전 무심사상 특별상
  • 1992 대한민국 전통문화재 조각회 회장
  • 1994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예술사전공 수료 / 대한민국 불교미술대전 추천작가
  • 1995 제1회 불교조각 개인전(공평아트센터) / 제2회 불교조각 개인전(부산 국제문화센터)
  • 1996 제21회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수상
  • 1998 제3회 통일환경문화 복지예술 대제전 문화관광부 장관상 수상
  • 1999 동국 불교미술인회 회장 /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불상조각상 지정 / 제1회 ’99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국제 초대작가전
  • 2000 충청문화예술 진흥회 이사 / 문화재청 문화재수리기능자(조각공) 시험감독관 / 제3회 불교조각 개인전(대전시청)
  • 2001 여진미술관 착공
  • 2002 무형문화재 합동공개발표회(시청 제2전시실)
  • 2003 한국 불교미술 알림 개인전(LA 고려사) / 국가 주요 지정문화재 보수
  • 1999. 05. 26 대전무형문화재 제6호 불상조각장(佛像彫刻匠) 보유자인정
  • 1981 불교조각원 개원 / 대한민국 불교미술대전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상 수상
  • 1982 문화재 수리 기능자(조각공) 제680호
  • 1988 제12회 대한민국 불교미술대전 무심사상 특별상
  • 1992 대한민국 전통문화재 조각회 회장
  • 1994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예술사전공 수료 / 대한민국 불교미술대전 추천작가
  • 1995 제1회 불교조각 개인전(공평아트센터) / 제2회 불교조각 개인전(부산 국제문화센터)
  • 1996 제21회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수상
  • 1998 제3회 통일환경문화 복지예술 대제전 문화관광부 장관상 수상
  • 1999 동국 불교미술인회 회장 /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불상조각상 지정 / 제1회 ’99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국제 초대작가전
  • 2000 충청문화예술 진흥회 이사 / 문화재청 문화재수리기능자(조각공) 시험감독관 / 제3회 불교조각 개인전(대전시청)
  • 2001 여진미술관 착공
  • 2002 무형문화재 합동공개발표회(시청 제2전시실)
  • 2003 한국 불교미술 알림 개인전(LA 고려사) / 국가 주요 지정문화재 보수

출처 유성구문화관광

유성구 문화재3 소개 끝

유성호빠 유성구 문화재3
홈으로
유성호빠 유성구 문화재3
구인구직은 호빠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